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이의경)는 지난해 의약품 수출액이 46억 7,311만달러(5조 1,431억원)로 ‘17년(40억 7,126만달러, 4조 6,025억원) 대비 14.8% 증가하여 역대 최대 수출실적을 기록하였다고 밝혔다.
또한 최근 5년간(’14~‘18년) 연평균성장률 역시 17.9%로 고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완제의약품 수출액은 ‘17년 대비 18.8% 증가한 30억 8,592만달러(66.0% 비중)로 최초로 30억 달러를 돌파하고 최근 5년간 연평균성장률도 25.8%로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국내 의약품 생산실적은 `18년 21조 1,054억원으로 `17년(20조 3,580억원) 대비 3.7% 증가하였다.
지난해 의약품 생산실적은 ‘국내총생산(GDP)'의 1.18%를 차지하였으며, 제조업 분야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35%로 최근 5년 중 가장 높았다.
또한, 최근 5년간(’14~‘18년) 의약품 분야 연평균성장률은 6.5%로 전체 제조업(4.4%) 대비 2.1%P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지난해 우리나라 의약품 시장의 주요 특징은 ▲ 전문의약품 중심 생산실적 증가 ▲생산실적 1위 업체.제품 변동 ▲미국.독일 등 선진국과 대만·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지역으로 수출 큰 폭 성장 ▲바이오의약품 수출 강세로 4년 연속 흑자 등으로 나타났다.
■ 전문의약품을 중심으로 생산실적 증가
완제의약품 생산실적은 `18년 18조 5,438억원으로 전년(17조 5,510억원) 대비 5.7% 증가한 반면, 원료의약품은 2조 5,616억원으로 전년(2조 8,070억원) 대비 8.7% 감소하였다.
완제의약품 가운데 전문의약품은 15조 5,852억원(84.0%), 일반의약품은 2조 9,586억원(16.0%)이 생산되었으며, 전문의약품의 생산실적이 ‘17년(14조 5,949억원) 대비 6.8% 증가하였다.
이는 전문의약품 생산품목이 ‘18년 14,203개로 ’17년(13,639개)에 비해 564개 품목이 늘어난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 생산실적 1위 업체와 품목 변동
제약사별 생산실적은 ‘한미약품’이 ‘18년 9,075억원으로 `17년 대비 19.5% 증가해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뒤로 ’종근당’(8,172억원), ’셀트리온’(7,259억원), ’대웅제약’(6,926억원) 순이었다.
완제의약품은 면역글로블린제제인 녹십자의 ’아이비글로불린에스엔주5%’(1,002억원)가 지난해 7위에서 1위로 올라섰으며, 그 뒤로 메디톡스의 ’메디톡신주’(950억원), 한독의 ‘플라빅스정75㎎’(811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원료의약품은 셀트리온의 ‘허쥬마원액’(2,904억원)이 1위로 올라섰으며, ‘트룩시마원액’(2,112억원), ‘램시마원액’(1,452억원)이 뒤를 이었다.
■ 선진국과 동남아 지역 수출 큰 폭 성장
지난해 의약품 수출은 46억 7,311만달러(5조 1,431억원)로 ‘17년 대비 14.8% 증가하여 역대 최대 수출실적을 기록하였으며, 이 가운데 바이오의약품이 33.4%를 차지하였다.
특히, 바이오의약품은 전체 의약품 중 생산(12.4%)보다 수출(33.4%) 부분에서 비중이 높았으며, 이 중 바이오시밀러가 전체 수출의 22.9%를 차지하는 등 앞으로 수출 유망 산업으로 성장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국가별 수출실적은 미국이 5억 244만달러로 최초로 1위를 기록하였으며, 그 뒤로 독일(4억 6,070만달러), 일본(4억 5,686만달러), 중국(4억 317만달러), 터키(3억 8,534만달러) 등의 순이었다.
특히, 미국에 대한 수출이 5억 224만달러(5,530억원)로 전년(3억 8,600만달러, 4,364억원) 대비 30.2% 증가하였고, 유럽에서는 독일(108.3%), 아시아에서는 터키(136.9%), 대만(31.6%), 인도네시아(47.7%)로의 수출 증가가 두드러졌다.
지난해 의약품 수입은 65억 134만달러(7조 1,552억원)로 ‘17년(55억 7,967만달러, 6조 3,077억원) 대비 16.5% 증가하였다.
국가별로는 미국(8억 3,038만달러), 영국(7억 4,363만달러), 독일(7억 3,792만달러), 중국(7억 3,273만달러), 일본(5억 7,003만달러) 등의 순이었다.
■ 바이오의약품 수출 강세로 4년 연속 흑자
의약품 전체 무역수지는 18억 2,824만달러(2조 121억원)의 적자를 보인 반면, 바이오의약품을 별도로 분류할 경우 3억 4,567만달러(3,804억원)의 무역수지 흑자를 나타내 4년 연속 흑자를 기록하였다.
지난해 바이오의약품 생산실적은 2조 6,113억원으로 ‘17년(2조 6,015억원) 대비 0.4% 증가하고 최근 5년간 연평균성장률 11.6%를 보였으며,
수출실적은 15억 5,925만달러(1조 7,161억원)로 ‘17년(13억 6,851만달러, 1조 5,471억원) 대비 13.9% 증가하고 최근 5년간 연평균 성장률 27.6%로 고속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바이오의약품을 가장 많이 수출한 지역은 유럽으로, ‘17년(8억 144만달러) 대비 13.5% 증가한 9억 969만달러를 수출하였으며, 바이오의약품 총 수출액의 58.3%를 차지하였다.
그 뒤로 아시아 1억 5,514만달러(‘17년 1억 3,515만달러 대비 14.8% 증가), 북미 1억 4,582만달러(’17년 9,300만달러 대비 56.8% 증가) 등의 순이었다.
이는 우리 기술로 개발된 바이오의약품이 미국·유럽 등 선진국까지 허가·사용되어 국내 바이오의약품이 양적인 팽창 뿐 아니라 질적인 성장도 동반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유전자재조합의약품(바이오시밀러, 항체의약품 등)의 수출실적은 ‘17년(9억 9,156만달러) 대비 18.7% 증가한 11억 7,696만달러로 바이오의약품 수출실적의 75.5%를 차지하며 주요 수출 품목군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 의약외품 분야 >
지난해 의약외품 생산실적은 1조 4,473억원으로 `17년(1조 4,703억원)과 유사한 수준이었다.
이는 그동안 ‘의약외품’으로 관리하던 살충제 제품군이 ‘살생물제’로 전환함에 따른 것으로, 해당 군을 제외하여 비교한 생산실적은 오히려 ‘17년 대비 6.6% 증가했다고 볼 수 있다.
지난해 의약외품 수출은 4억 4,394만달러(4,886억원), 수입은 1억 9,409만달러(2,136억원)로 무역흑자(2억 4,985만 달러, 2,750억원)가 ‘17년(1억 6,551만 달러, 1,871억원) 대비 51% 증가하여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지난해 우리나라 의약외품 시장의 주요 특징은 ▲보건용 마스크 생산실적 큰 폭 증가 ▲치약제, 내복용제제 등 상위 5개 품목이 생산실적 대부분 차지 ▲의약외품 수출시장 다변화 등이다.
■ 보건용마스크 생산실적 큰 폭 증가
보건용마스크의 지난해 생산실적은 1,145억원으로 ’17년(337억) 대비 240% 증가하였으며, ‘16년(152억)과 비교하였을 때는 650% 이상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최근 미세먼지 발생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한 ‘보건용 마스크’의 수요가 늘어나 생산실적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 치약제, 내복용제제 등 상위 5개 품목군이 생산실적 대부분
생산실적 상위 5개 품목군은 치약제(4,733억원, 32.7%), 내복용제제(3,215억원, 22.2%), 생리용품(2,641억원, 18.3%), 마스크(1,193억원, 8.2%), 붕대.반창고 등(1,176억원, 8.1%)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용 마스크의 성장에 따라 마스크 제품군이 새롭게 상위 5개 품목군에 진입하였다.
업체별로는 ‘동아제약’(2,980억원)이 ‘17년에 이어 1위를 차지했으며, ’엘지생활건강’(2,225억원), ’유한킴벌리’(1,146억원), ’아모레퍼시픽’(1,061억원), ’애경산업’(738억원) 등이 뒤를 이었으며, 이들 업체의 생산실적은 전체 생산실적의 56.3%를 차지했다.
품목별로는 ‘17년과 동일하게 ‘박카스디액’(1,436억원)이 1위였으며, 그 뒤로 ‘박카스에프액’(1,036억원), ‘페리오액티브캐비티케어치약’(221억원) 및 ‘까스활액’(209억원) 순이었습니다.
‘박카스디액’과 ‘박카스에프액’ 두 품목의 생산액은 2,472억원으로 전체 의약외품 생산의 17.1%를 차지했다.
■ 의약외품 수출시장 다변화
지난해 의약외품 수출은 4억 4,394만달러(4,886억원)로 ‘17년(3억 5,008만달러, 3,958억원) 대비 26.8% 증가하였으며, 국가별 수출은 중국(10,372만달러, 1,141억원), 베트남(5,898만달러, 649억원), 방글라데시(5,152만달러, 567억원), 일본(4,059만달러, 446억원) 등의 순이었다.
특히, 지난해 말레이시아(2,305만달러, 236.2%), 네덜란드(1,831만달러 , 938.5%), 파키스탄(836만달러, 415.2%), 폴란드(849만달러, 158.1%)에 대한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하는 등 의약외품 수출시장이 다변화되고 있다.
이의경 식약처장은 “최근 의약품등 생산·수출 증가는 업계의 노력과 정부의 지원이 맺은 결실로, 특히 제약·바이오산업은 미래 신성장동력으로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유망산업인 만큼 정부와 기업이 함께 고민하고 노력해야 한다”며,
“식약처 또한 대외적으로는 ODA 사업, MOU 체결 등 국제협력 활동을 강화하고, 안으로는 안전을 최우선으로 국제수준의 허가·심사체계를 확립하는 등 품질이 확보된 우수한 의약품이 해외 진출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올해 5월 EU 화이트리스트(GMP 서면확인서 면제 국가) 등재와 7월 베트남 입찰등급 유지 성과 역시 정부와 기업의 협력이 이끌어낸 성과로서 우리나라의 의약품 안전관리 수준을 세계에 알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뉴스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