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솔루션, 브레인기자] 중소벤처기업부는 1차부터 3차까지 지정한 규제자유특구 20년 12월말 기준 특구 내 기업 등의 고용현황은 8,033명으로 특구로 지정 전(6,778명)과 비교해 1,255명이 증가했으며, ’21년 12월까지 829명을 추가 고용할 계획으로 총 2,084명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규제자유특구의 일자리 창출은 주로 1차와 2차 특구에서 나타났고(1,054명), 지난해 7월 지정 후 21년 실증을 준비 중인 3차 특구에서도 일부 증가(201명) 했다.
?
이는 지난해 고용현황(20.7월기준 1차, 2차특구) 조사를 통해 확인된 일자리 창출성과(662명)가 실증사업이 본격 추진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크게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
특구별로는 전북 친환경자동차특구가 최다 고용증가(%2B148명)를 보이며 지엠(GM) 철수 후 지역 내 일자리 회복에 지속적으로 기여 중이고,
?
초소형전기차 등의 생산 공장이 구축된 전남 e-모빌리티 특구(%2B115명)와 대구(%2B102명), 대전(%2B146명)의 바이오 분야 특구 내 일자리 창출 효과가 두드러졌다.
타 지역에서의 이전 기업(143개)을 통한 고용 증가 비중은 40.9% (513명)로 본사이전, 지사 설립 등 지역으로의 기업 이전에 따른 일자리 창출 효과가 나타나고 있으며,
?
실증사업의 진전에 따라 상용화 등을 위한 추가 신규 고용도 예정돼 있어 규제자유특구제도가 지역의 혁신성장과 일자리 창출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
기업규모별로는 소기업·소상공인(%2B546명, 43.5%), 중기업(%2B385명, 30.7%), 중견기업(%2B177명, 14.1%)이 전체 특구사업자 일자리 증가의 88.3%(1,108명)를 차지해 중소기업 위주로 일자리가 창출된 것으로 파악됐다.
?
업종별로 고용 규모, 증가율이 모두 높은 업종은 제조업, 정보통신업, 전문 과학 기술서비스업(1,050명)으로 전체 고용 증가(1,255명)의 83.7%를 차지했고 이중 모빌리티(자율차, 친환경차 등), 의료기기, 배터리 등 제조업의 비중(699명, 55.7%)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업력별로는 창업 후 3년 미만 21.3%(%2B267명), 창업 후 3년 이상 7년 미만 24.1%(%2B302명), 창업 후 7년 이상 54.7%(%2B686명)로 전체 특구사업자 중 창업 후 7년 이상 기업에서 고용증가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지난 ’20년 7월 조사와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
이는 사업화 과정에 대한 경험과 신기술·서비스에 대한 기술 성숙도의 차이에 따른 사업화 추진력 격차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향후 특구사업자는 ’21년말 실증 종료 시 까지 총 829명의 신규 고용계획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실증 완료 후 신기술·서비스의 상용화 추진과정에서 본격적인 일자리 창출 효과가 추가로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
중기부 박영선 장관은 “규제자유특구가 미래 전략산업의 전진기지 역할을 주도하고 고용창출을 위해 1차와 2차 특구가 실증 완료 후에도 사업 중단이 없도록 신속한 법령정비, 임시허가 전환 등을 꼼꼼히 준비해 나가면서,
?
지역혁신성장의 성과가 조기에 가시화될 수 있도록 특구·창업기업의 수요에 맞추어 기술개발(R&D), 자금, 판로 등 다양한 정책 수단을 끊김없이 지원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보도자료출처: 중소벤처기업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