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용정보원(원장 이재흥)은 서울시 청년허브(센터장 안연정)과 함께 3일 서울 중구 LW컨벤션에서 "2019 청년정책 포럼" 을 개최한다.
한국고용정보원과 서울시 청년허브는 지난 5월 8일 청년문제 해결을 위한 활동을 강화하고자 MOU(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번 포럼은‘청년의 지역정착을 위한 방안 모색’이라는 주제로, 청년의 지역정착을 위한 정책 방향과 과제를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에는 청년, 청년센터 관계자, 중앙·지역 청년정책 담당자 등 100여 명이 참여해 지역에서의 청년 일거리 탐색 사례와 지자체 청년센터 우수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 청년을 위한 정책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상호 고용정보원 지역일자리지원팀장이 지방소멸의 현황과 대응방향을 발표한다.
이 연구위원은 지방소멸위험지역이 228개 시.군.구 중 97개로 2018년 대비 8개 시군이 증가했다며 이에 대한 대응전략을 발표한다.
발표에 따르면, 지방소멸에 대한 대응전략으로는 사회복지분야 서비스업을 기반으로 작동하고, 다양한 복지수요에 대응하며, 젊은 여성(중장년 포함)의 괜찮은 일자리를 특징으로 하는 대안적 발전모델이 필요하다.
또, 지역 맞춤형 전략 및 적극적 의지를 가진 지역에 대한 선택과 집중을 원칙으로 하는 정책지원이 필요하며, 의료.복지.교육.일자리.문화체육 등의 영역에서 접근성을 높임으로써 아동.청년.여성 친화적 공동체를 조성할 수 있는 인프라와 컨텐츠 사업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김정섭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청년의 지방 이주 관련 정책과제를 소개한다.
김 연구위원은 “청년의 지방 이주 관련 정책에 대한 관심이 전례없이 높아진 것은 바람직하지만, 형식과 수단이 비슷한 정책들이 도입되고 있다”며, 청년의 지방 이주 정책을 도입시 고려될 필요가 있는 몇 가지 관점을 발표한다.
그에 따르면 첫째, 농어촌에서의 의미 있는 일자리와, 생활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을 우선적인 목표로 삼아야 하며 둘째, ‘한달 살아보기’ 등과 같은 다양한 사회적 관계를 맺을 수 있는 경험의 시간이 필요하고, 셋째, 지역 사회가 청년을 받아들이고 돌보고 가르치고 성장시키는 무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게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하는 정책을 중시해야 하며, 넷째, 하나의 정책이 아닌 다양한 영역의 정책이 서로 조율되는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송수종 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2019년 청년센터 운영지원 공모사업에 선정된 16개 지방자치단체 청년센터의 공간과 프로그램 현황을 발표하고, 우수사례를 소개하며, 정민철 마을연구소 일소공도 협동조합 책임연구원은 지역 이주 청년의 자기주도적 지역 일거리 탐색 사례로 충남 홍성 사례를 발표한다.
발표 이후에는 고용정보원 고재성 청년정책허브센터장의 진행으로 양정열 고용노동부 청년고용기획과장, 천영민 고용정보원 청년정책모니터링팀장, 서울시 청년허브 김현아 연구협력실장, 옥천신문사 황민호 실장, 듣는연구소 우성희 대표 등이 참여하는 종합토론이 이어지며 관계자들을 위한 질의응답 시간도 진행될 예정이다.
한국고용정보원 관계자는 “이번 행사는 청년의 지역정착을 위한 정책과제 및 지역사회 역할 탐색을 위해 마련됐다”며, “지역 이주 청년의 지역 일거리 탐색 사례 공유는 청년의 지역정착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 논의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청년센터 운영 사례 경험 공유는, 지역 청년센터 활성화 및 지역 청년을 위한 지역사회의 역할 탐색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더불어 이러한 노력이 지역의 청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 마련의 기회를 제공하고, 청년정책과 관련된 정부혁신에도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보도자료출처: 고용노동부]